[뉴스포커스] 푸틴, 24년 만에 방북…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 주목<br /><br />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늘과 내일 1박 2일의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합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이후 24년만인데요.<br /><br />과거 북한과 러시아가 맺은 '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'에 가까운 군사 협력 가능성 등이 주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크렘린궁은 러시아와 북한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이 오늘부터 1박 2일로 북한을 방문한다고 크렘린궁이 공식 발표를 했습니다. 지난해 9월 김정은 방러 이후 9개월 만에 재회이자,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4년만인데요.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, 어떤 의미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어젯밤 8시쯤 북러가 동시에 푸틴 방북을 공식 발표했는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나요?<br /><br /> 북한은 푸틴 대통령에게 5년 전 북한을 찾은 시진핑 주석 못지않게 극진한 환대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. 그만큼 북한에게는 이번 푸틴 대통령 방북이 전략적 기회이기 때문이겠죠? 북한에서의 어떤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을까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이 오늘 밤 8시에 도착해서 다음 날 베트남을 방문한다고 하니까 실제로 북한에 체류하는 시간은 24시간이 채 안 될 것 같은데요. 당초 북한은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6월 25일로 푸틴 방북을 요청했는데, 받아들여지지 않고, 오늘 방북을 하거든요? 푸틴은 이번에 어떤 마음으로 북한을 가는 걸까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앞서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과 서방 통제 받지 않는 상호 결제체계를 발전시키겠다고 했는데요. 이것은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크렘린궁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이번에 푸틴 대통령이 북한에서 여러 중요한 문서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했는데요. 지난해 북러 정상회담에서는 어떤 형태의 문서에도 서명하지 않았거든요? 크렘린궁에서 이야기한 여러 중요한 문서, 어떤 것들을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앞서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과 서방 통제 받지 않는 상호 결제체계를 발전시키겠다고 했는데요. 이것은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이번 푸틴 방북의 최대 관심사는 양측의 군사협력이 어느 정도 강화될 것인가 이 부분인데요. 가장 많이 나오고 있는 이야기가 자동 군사개입 조약인데,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이 되살아나는 건 한국으로서는 '최악의 시나리오'입니다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우리나라는 미국과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맺고 있는데요. 그것과 비교해 봤을 때, 북한과 러시아가 맺었던 조·소 상호방위조약은 어느 정도 수준인 건가요?<br /><br /> 푸틴 대통령은 지난 3월 언론 인터뷰에서 "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자체 핵우산을 가지고 있다"고 언급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있었는데요. 이번에는 어떨까요?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 북핵 용인과 관련해 진전된 언급을 내놓을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러시아가 북한에 어느 정도의 군사적 지원을 할 것인지도 궁금한데요. 핵잠수함이나 군사위성 관련 기술을 이전해 줄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또 하나가 러시아의 북한 노동자 고용 문제도 예상되는 의제 중 하나인데요. 이 부분도 역시 유엔 대북 제재에 저촉되는 문제거든요?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공교롭게도 푸틴 대통령 방북이 예정된 오늘, 한중 간 외교 안보 대화가 서울에서 열립니다. 북한에서는 북러 정상회담이, 한국에서는 외교안보대화가 열리는 건데, 양측이 모두 서로를 견제하는 발언을 내놓을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중국 외교부는 한중 외교 안보 대화가 북러 정상회담과 시기를 맞춘 것이 아니며 한중관계 개선에 초점을 둘 것이란 입장을 내놓았는데요. 푸틴 방북과 관련해 북한에서는 작년과는 달리 북러 양국의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. 북러 밀착을 바라보는 중국의 속내는 무엇일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